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ython6

EPS 증가율 공식 / EPS증가율 30%이상 데이터 첨부 안녕하세요. 오늘은일전에 말씀드린 EPS증가율 관련해서 기록 남겨 드려요 EPS 증가율은 앞에 포스팅에 나온 EPS를 최근 3년의 데이터를 기하평균으로 구하여 기업이 평균 적으로 얼마만큼 EPS가 증가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잇는 방법 입니다.대표적으로 전설적인 투자자중 한 분이 추천하는 PEG/PEGR을 구할때 쓰는 변수 중에 하나지요. 공식(최근/ 3년전) ** (1 / N) - 1 ****첨부된 파일은 위의 공식으로 한번이라도 EPS가 -인 것을 제외하고 30%이상인 것들 중 일부만 추출한 것입니다.데이터를 사용 하실때 오류가 있을수도 있으니 꼭 확인 작업을 거친 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기타 구하고 싶은 데이터 및 PEGR 같은 데이터를 구하고 싶으시다면 따로 문의주세요 ^^ 2025. 3. 27.
[GGA] 데이터 수집 및 개발 환경 -VScode(파이썬 적용 및 이전 버전 설치) 안녕하세요. 일전 [GeckoGenderAI]란 이름으로 소소한 프로젝트 시작한다고 구상 및 간단한 진행 방향을 글로 적었었는데. 지금까지 진행사항 공유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 데이터 수집데이터는 인터넷과 주변 단톡방에서 허락을 받고 사진을 각 100장씩 모았으며 해상도나 선명도를 중점적으로 모았습니다. 사실 저는 분양을 할 때 제외하고는 천공을 잘 보지 않는데..(키우다가 어느정도 크기 되면 알이 나오면 숫이구나~~) 심지어 천공을 보더라도 사진으로 찍는게 아니고 루페를 통해서 바로 확인을 한답니다. 쨋든 일단 Female,Male 각 100장씩 모았고 분류를 진행 하였습니다. 2. 개발 환경 구축개발 환경은 원래 C#을 자주 사용하여 편안한 C#을 베이스로 비쥬얼 스티디오로 개발을 할려고 하였으나.. 2025. 1. 22.
[Python 기본기] 튜플(Tuple) and 딕셔너리(Dictionary) 요약! (개념 , 주 사용 기능/함수) 튜플(Tuple)이란? 순차 자료형 이며 불변 자료형으로 인덱스 접근과 슬라이싱이 가능. 풀어서 말한다면 리스트의 경우는 수정 및 변경이 가능했지만 튜플은 불가능. 딕셔너리(Dictionary)란? 비순차 자료형 이이며 가변 자료형이다. 즉 인덱스로 인한 접근과 슬라이싱은 불가능. 키(key)와 값(value)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 값(value)은 변경 가능 ,키(key)는 변경이 불가능 하나의 딕셔너리 객체에 중복된 키(key)가 존재하지 못함. 주사용기능 튜플 : 선언 , 인덱싱 , 슬라이싱 딕셔너리 : 선언 , 값확인 , 키확인 , 데이터 삭제 , 데이터 존재 유무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020. 10. 8.
[Python 기본기] 자주 사용하는 리스트(list) 요약! (개념 , 슬라이싱 , 주 사용 함수) 리스트(list) ?? - list는 순차 자료형이면서 값을 변화 시킬 수 있는 가변 자료형이며 문자열과 같이 인덱스로 데이터에 접근 및 수정이 가능하며 슬라이싱 기능 또한 제공. - 리스트는 다른 객체를 포함 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object! 주요함수 append() - 리스트의 마지막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 sort() - 리스트의 내부 구성을 정렬 목적에 따라 정렬. reverse() - 리스트 안에 값을 역순으로 뒤집는다. index() - 리스트에 지정 값이 있으면 위치 인덱스를 리턴 없다면 오류 발생 insert() - insert(위치,삽입값)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 추가. remove(값) - 리스트에서 값에 해달하는 값의 첫번째것을 삭제. del[값] - 리스트에서 값에 해달하는 인덱.. 2020.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