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ock13 예상 ROE 계산기(가중평균) ROE가 투자를 하는데 중요한 지표로써 사용 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부분이다. 매년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컨센서르 자료를 통하여 추정 ROE를 제시 하는데 규모가 작은 업체 인 경우 컨센서스가 없는 경우가 많이 있음. 이에 3년치 가중 평균을 내어 예상 ROE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에 계산기를 사용하여 예상 ROE를 산출 하길 바랍니다. 아래 3년전,2년전,1년전 빈칸에 수치를 적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3년전 ROE(%): 2년전 ROE(%): 1년전 ROE(%): 예상 ROE(%): 2021. 6. 14. 액티브 ETF가 도대체 뭘까?? 액티브 ETF란??? 액티브 ETF는 우리 나라의 시장 지수를 단순하게 따라가는 기존 ETF와 다르게 선정한 특정 종목에 투자를 비교적 집중하여 일반 ETF에 비해 적극 적인 ETF이며, 이렇게 적극적으로 하는 이유는 시장을 대비해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것에 중점적인 방법. 액티브 ETF를 운용하는 펀드 매니저가 투자 종목과 비중을 적극적으로 조정하게 되며 일반 주식형 펀드의 성격을 가지면서 증시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는 ETF의 장점도 가지게 됨. 국내 주식형 액티브 ETF는 규정상 ETF 비중의 70% 정도는 코스피200 안에 있는 종목을, 30%는 종목의 비중을 펀드매니저가 결정할 수 있다, 200지수 안에 있는 종목의 비중이 높긴 하지만 전체 비중의 30%는 결코 적은 편이 아니다, 이.. 2021. 5. 26. EPS 증가율 공식 / EPS증가율 30%이상 데이터 첨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전에 말씀드린 EPS증가율 관련해서 기록 남겨 드려요 EPS 증가율은 앞에 포스팅에 나온 EPS를 최근 3년의 데이터를 기하평균으로 구하여 기업이 평균 적으로 얼마만큼 EPS가 증가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잇는 방법 입니다. 대표적으로 전설적인 투자자중 한 분이 추천하는 PEG/PEGR을 구할때 쓰는 변수 중에 하나지요. 공식 (최근/ 3년전) ** (1 / N) - 1 ****첨부된 파일은 위의 공식으로 한번이라도 EPS가 -인 것을 제외하고 30%이상인 것들 중 일부만 추출한 것입니다. 데이터를 사용 하실때 오류가 있을수도 있으니 꼭 확인 작업을 거친 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기타 구하고 싶은 데이터 및 PEGR 같은 데이터를 구하고 싶으시다면 따로 문의주세요 ^^ 2020. 6. 11. EPS(기업의 주당 순이익)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가치투자를 시작할 때 많이 참고하는 EPS가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EPS(Earning Per Share)란? 기업이 일정기간동안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주식의 수로 나눈 값 . 주식 1 주당 벌어들인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EPS값이 높을수록 회사가 돈을 잘 벌었다라는 의미를 포함하기 때문에 투자 가치가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요약 기업이 1주당 얼마만큼의 순이익을 냈는가에 대한 지표 공식 당기순이익/주식수 = EPS 판단법 EPS가 높은 기업은 회사가 경영을 아주 양호하게 하고 있다는 뜻이며 배당의 여력도 크기 때문에 주가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EPS는 주가수익비율(PER) 계산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 EPS를 제대로 .. 2020. 6. 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